아틀라스 항공

덤프버전 : (♥ 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항공사
[ 펼치기 · 접기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델타항공파일:델타항공 로고.svg
델타항공
델타 커넥션
웨스턴 항공
노스웨스트 항공
US 에어웨이즈파일:아메리칸 항공 로고.svg
아메리칸 항공[1]
아메리칸 이글
아메리칸 항공
트랜스 월드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파일:유나이티드 항공 로고.svg
유나이티드 항공
유나이티드 익스프레스
컨티넨탈 항공
창립 전파일:이스턴 항공(2018) 로고.svg 이스턴 항공
지역 항공사
Regional Carrier
파일:Hawaiian Airlines Wordmark.png 하와이안 항공
알래스카 항공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창립 전버진 아메리카
사우스웨스트 항공
벨류젯에어트랜
파일:Sun Country Airlines Logo.png 선 컨트리 항공
창립 전파일:Northern_Pacific_Airways_logo.png 뉴 퍼시픽
창립 전파일:젯블루 로고.svg 제트블루
창립 전
초저비용 항공사
Ultra Low-cost Carrier
파일:Spirit-Logo.png 스피릿 항공
창립 전파일:프론티어 항공 로고.svg 프론티어 항공
창립 전파일:얼리전트 항공 로고.svg 얼리전트 항공
창립 전파일:아벨로 항공.png 아벨로 항공
차터 항공사
Charter Carrier
내셔널 항공
창립 전옴니 에어 인터내셔널
창립 전에어 트랜스포트 항공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FedEx Express
UPS 항공
칼리타 에어
창립 전아틀라스 항공
창립 전폴라에어 카고
창립 전 아마존 에어
창립 전
창립 전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파산 후 부활과 파산을 반복
파산
파산
노스이스트 항공 (1940~1972) · 내셔널 항공 (1934~1980) · 휴즈 에어웨스트 (1970~1980) · 텍사스 인터내셔널 항공 (1944~1982) · 에어 플로리다 (1972~1984) · 캐피톨 항공(1946~1984) • 오작 항공 (1950~1986) · 리퍼블릭 항공 (1979~1986) · 에어 캘리포니아 (1967~1987) · 피플 익스프레스 (1981~1987) · 피드몬트 항공 (1949~1989) · 마이애미 항공(1990~2020) · 미드웨이 항공 (1979~1991) · 타워 에어 (1983~2000) · 밸류젯 항공 (1992~1997) · 아메리카 웨스트 항공 (1981~2005) · 후터스 항공 (2003~2006) · Song (2003~2006) · eos 항공 (2004~2008) · 알로하 항공 (1946~2008) · ATA 항공 (1973~2008) · 카고 360 (2006~2008) · Ted (2004~2009) · 애로우 항공 (1947~2010) · 미드웨스트 항공 (1983~2010) · 컴에어 (1977~2012) · 에버그린 국제항공 (1975~2013)
[1] US 에어웨이즈의 역합병



파일:아틀라스 항공 로고.svg
아틀라스 항공
Atlas Air
부호콜사인 (GIANT)
IATA (5Y) ICAO (GTI) BCC[1] (7U)
설립 연도1992년 4월
허브 공항마이애미 국제공항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신시내티 노던 켄터키 국제공항
앵커리지 국제공항
휴스턴 조지 부시 인터컨티넨털 공항
헌츠빌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72[2]
취항지 수430
링크파일:아틀라스 항공 로고.svg

1. 소개
2. 보유 항공기
3. 사건 사고
4. 기타




1. 소개[편집]


미국의 화물 항공사. 규모로서는 페덱스UPS에 이어 미국 내 3위의 화물 항공사이다. 인천국제공항에도 취항 중이며, 자회사인 폴라에어 카고의 편명이나 혹은 자체 편명[3]으로 취항한다.

여객기도 몇 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세기 취항도 가끔식 하기도 한다.[4]

미국의 아마존 프라임 항공 운영사가 바로 이 항공사이다. 또한 보잉의 747-400LCF 드림리프터 운영 또한 이 항공사에서 맡고있다.

인천국제공항에는 외항사 중 최초로 자체 화물 터미널 AACT를 운영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 외에도 가끔씩 오산공군기지, 군산공항, 김해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광주공항, 수원공군기지, 포항공항 같은 곳에도 미군 화물수송 목적으로 찾아오기도 한다.#[5]

자회사로 폴라에어 카고, 타이탄항공이 있다.

2017년부터 아시아나항공이 이 항공사의 B747-400F 화물기 1대를 임차하여 운항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1대씩 화물기 임차 운항을 확대하였다.관련 기사

2022년 12월 15일, 인천국제공항공사랑 인천공항에 항공정비 격납고를 조성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

2. 보유 항공기[편집]


파일:4622075[1].jpg
파일:N863GT-2.webp
N412MCN863GT[6]

기종수량
보잉 737-800BCF8대[7]
보잉 767-300ER6대
보잉 767-300BCF, BDSF22대
보잉 747-400[8]5대
보잉 747-400BCF2대
보잉 747-400BDSF2대
보잉 747-400ERF2대
보잉 747-400F35대[9]
보잉 747-400LCF [10]4대[11]
보잉 747-8F10대[12]
보잉 777F9대[13]

보잉 747을 46대 보유한[14], 747 기종 최다 보유 항공사이다.[15]

덤으로 2023년 2월 1일, 전 세계에서 마지막으로 생산된 보잉 747을 인도 받았다.[16]


3. 사건 사고[편집]




4. 기타[편집]


아이허브 직구매시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에서 이 항공사편으로 자주 운송된다. 운송경로는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에서 앵커리지 테드 스티븐스 국제공항을 경유하여 온다. 참고로, 금요일 오후에 주문시 스케쥴만 잘 맞으면 화요일에 집에서 수령가능할 정도로 운항 스케쥴이 정확한 편이다.

상술했듯이 마지막으로 생산된 747인 N863GT는 아틀라스 항공으로 인도되면서 하늘에 왕관 쓴 747를 선보였다.#


맨체스터 시티 선수단이 23년 여름 프리시즌 투어에 해당 항공사를 이용중이다.[1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13:58:44에 나무위키 아틀라스 항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코드.[2] 폴라에어 카고에티하드 카고 임차 운항 항공기 포함[3] 아시아나항공 전세편으로 5Y2678(뉴욕-앵커리지-인천), 5Y2418 및 5Y2458(LA-시애틀-인천), 5Y2838(LA-샌프란시스코-인천)이라는 편명으로 운행된다. 전세편이기에 항공송장 식별번호는 아시아나항공의 988번을 사용하며, 통관 등 제반 업무 또한 아시아나항공에서 한다. 또한 5Y2838은 몰테일과 배송 제휴를 맺고 있는 비타트라가 이용하기도 한다.[4] 대부분은 미군이 이용한다.[5] 칼리타 에어, 델타 항공, 페덱스 등과 지금은 파산한 에버그린 국제항공, 월드 에어웨이즈도 해당.[6] 마지막으로 생산된 보잉 747이다. 다시 말해 보잉 747 시리즈의 최종작이자 역사상 마지막 기종인 것이다.[7] 아마존 항공 임차 운항[8] 임차기로 (군수송 등)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승객들이 탑승할 일은 거의 없다.[9] 6대는 폴라카고 임차 운항, 3대는 일본화물항공 임차 운항[10] 드림리프터[11] Boeing Company 임차 운항[12] 2대는 콴타스 화물 항공 임차 운항[13] Southern Air, MSC Air Cargo 임차 운항[14] 여객 5기, 화물 39기[15] 2위는 30대를 보유한 UPS 항공, 3위는 29대를 보유한 카고룩스 항공이다. 참고로 1, 2, 3위가 모두 화물 항공사다.[16] 여객형은 이미 대한항공의 주문분을 마지막으로 단종, 화물형만 초저율로 생산중이였다. 2021년 중반에 4대를 주문했는데 이것이 마지막 747 주문분이 된 것이다. 그리고 세계 최후의 4발 민항기 타이틀도 갖게 된다. 그리고 2022년 6월, 주문분 중 첫번째 기체인 N860GT가 인천국제공항으로 들어오면서 인도가 시작되었으며, 2022년 12월 6일에 마지막으로 생산된 보잉 747N863GT가 롤아웃되었다.[17] 임차한 기체는 B747-481이며, 항공기 등록번호는 N263SG이다.